콘텐츠로 건너뛰기

담배값 인상 8천원? 생각없는 그들만의 리그

금연정책 일환으로 전락한 담배값 인상! 과연 정답일까?

담배값 인상에 눈을 돌린 단체들

담배값 인상 이야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2015년 1월 1일 기준으로 한값에 2,500원 하던 담배값을 거의 2배 인 4,500원 올린 이 후 약 8년 이상이 지났으며, 2021년에 발표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발표 당시 2031년(10년)안에 OECD 평균 가격 인 한화 8,000원까지 올린다는 예고를 한지도 벌써 2년이 넘게 흘렀습니다.

한 사람이 하루에 한갑의 담배를 태운다고 가정할 시 2,500원일때만 해도 한달 75,000원이면 충분했지만 현재 4,500원으로 현행 유지된 이 후 한달 135,000원, 거의 두배의 비용이 연기와 함께 소비되고 있습니다.

그중 담배 한갑에 들어가는 세금은 자그마치 3,323원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담배값을 인상하면 금연율이 오를꺼라는 정부의 생각과 달리 걷어가는 세수만 늘어난 채 잉여 비용만 쌓이게 되었는데 이 비용들을 가지고 설립,관리,운영해야 할 시설,보조제,클리닉에 대한 투자는 미흡 한 실정 입니다.

문제는 2023년 5월 31일 세계 금연의 날을 맞아 8년 동안 동결한 담배 값을 8,000원까지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시작됩니다.

이러한 인상과 관련된 근거는 OECD 국가에서 담배값 싼 나라 중 꼴지에 속한다고 한 발언에 있는데 실제 담배값만 높고 본다면 뒤에서 5위를 하고 있긴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을 근거로 내세우려면 세계 임금 순위도 한번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2년 OECD 37개국 기준 우리나라 평균 임금 순위는 20위로 연봉은 한화 기준 55,000,427(42,747 USD)원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월급으로 따지면 세전 비용이 458만원인데 평균이라면 받는 사람을 우리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연령 별 평균 연봉에 못 미치는 사람이 50% 이상이라 그렇습니다.

주제로 되돌아와서 그럼 과연 OECD 기준 평균으로 담배값을 인상 하는게 과연 옳바른 정책일까요?

아마 평균임금인 458만원 이상 받는 흡연자라도 아마 반대 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유는 매우 단순합니다.

바로 위에서 언급한 세금 3,323원에 있는데 우리가 흔히 물품을 구입할 때 재료비,인건비,사용 편의성,필요성 등을 따져가며 “싸다,비싸다”를 판단하게 되는데 세금은 여기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입니다.

그래서 4500원 짜리 담배 한갑을 사는데 세금을 제외한 금액 인 1,177원인 것까지는 인정한다 치더라도 세금은 별개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담배값이 8,000원으로 오른다면 어떻게 될까요?

현재 1,177원인 담배값이 갑자기 기하급수적으로 오르는 상황은 발생되진 않을 테니 나머지는 다 세수로 걷어지게 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부분들로 인해 걷은 세수로 돌아오는 혜택이 미미한 상태에서 제대로 된 조사없이 “담배값을 올려야 한다”라는 논리는 공산주의에서나 일어날 강제성을 동반한 책임없는 이야기 일 뿐이고, 서민들이 겪는 현재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꼴 밖에 안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담배값을 올린다 = 서민들이 가격이 부담되서 담배를 끊는다” 는 논리는 도대체 어떤 사람의 아이디어에서 나온지 알 수 없으나 이해 할 수 없을 뿐더러 개인적인 소견으로 흡연자는 10,000원이 넘더라도 흡연을 할 것이라 판단됩니다..

결국 담배를 판매함으로써 이득을 얻는 누군가만 혜택을 볼 것이며, 이 모든 부분을 판단해서 생각한다면 찬성 하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OECD 평균을 논 하기 전에 현실적으로 주변을 둘러봐야 합니다.

2,500원 -> 4,500원으로 담배값을 올렸을 때 담배 판매율과 현재 OECD 37개국 평균 담배값이 8,000원 이라고 올려야한다는 주장, 2023년 OECD 37개국 평균 연봉이 5,000만원 인 점을 모두 나열해서 살펴보면 “말도 안 되는 논리” 라는걸 쉽게 알 수 있고 이런 내용으로는 금연을 실현할 수 없다는 건 자명한 일 같아 보입니다.

결론은 이런 말도 안 되는 논리를 내세워 탁상공론으로 서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방법보다는 현재를 직시하고 비흡연자,흡연자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고민할 때라 생각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